• 무엇으로 보답할꼬(시116:12~19)
  • 조회 수: 276, 2013.03.12 20:33:02
  •   하나님께서도 항상 원하시고 찾으시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은혜를 많이 받을 사람,은혜를 갈망하는 사람을 찾으십니다. 이유는 하나님께서 베풀어 주신 은혜를 받은 성도가 그 받은 은혜를 통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므로 결국 하나님께서 그 영광을  받으시기 때문입니다.  은혜란? 그저 베풀어 주시는 것입니다. 은혜를 받았다는 말은 그저 받았다는 말입니다. 사실 알고 보면 우리가 받은 것, 누리는 것은 다 하나님께  그저 받은 것들이 아닌 것이 없습니다. 그 공짜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구원입니다.(엡2:8)

    1.사망 가운데서 건짐을 받은 것입니다(시116:3~4)
      이 내용은 사울 왕이 암살롬이라는 못된 자기 아들에게 죽게 되었을 때에 하나님께 살려 달라고 기도 한 내용입니다. 그 기도의 응답으로 죽음 가운데서 살림을 받았습니다.  이 말은 사망가운데서 건짐을 받았다는 말입니다. 여러분 사람은 죽을 고비에서 하나님의 은혜를 받는 다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그러므로 죽을 고기는 곧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는 기회임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사람은 죄를 지었을 때 하나님의 은혜를 많이 받습니다.
    (롬5:20)  그러므로 삶에서 어려운 고비를 만났다는 것, 죽을 고기를 만났다는 것은 다 하나님이 은혜를 주시려는 기회가 된 것입니다. 그리고 죄를 많이 지어 괴로움을 받을 때도 그렇습니다. 하나님의 은혜의 손길이 가까웠다는 증거입니다. 사실 우리는 그런 경우 마다의 하나님의 은혜로 오늘이 있었습니다. 이 은혜가 우리가 갚을 길이 없는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2.하나님 은혜를 보답하는 길은 하나님을 많이 찬송하고 감사하는 것입니다.(시116:13~17)
    우리는 하나님 앞에 나올 때마다 십자가의 보혈로 구원해 주신 구원의 십자가의 보혈의 잔을 들고 감사하며 찬송을 많이 불러야 합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를 갚을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보답 할 수는 있습니다. 찬송으로 보답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하다는 고백으로 보답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구원에 대한 찬송,속죄에 대한 찬송을 가장 많이 불러야 합니다. 내 마음과 내 한숨과 비슷한 감정의 찬송 보다는 예수님의 구원,십자가를 노래한 찬송을 많이 불러야 하나님의 은혜에 보답하는 생활을 하는 것입니다. 어차피 우리는 다 하나님에게는 갚을 수 없는 빚진 자들입니다. 누가 어떻게 하나님께 무엇을 좀 해드렸다고 해도 그것은 받은 은혜를 갚은 것은 아닙니다. 약간 보답했을 뿐입니다.

    3.그리고 서원을 하나님께 갚는 것입니다.(시116:14~18)
     하나님의 은혜에 대하여 갚을 수는 없으나 나의 서원은 갚을 수가 있습니다. 서원은 사람이 죽게 되거나 가장 어려울 때,가장 은혜가 충만 할 때 합니다. 물론 자신이 그 서원을 실천 할 수 있는 것을 합니다. 우리는 자신이 한 서원이 많음을 알고 있고 또 어떤 경우는 잊은 것도 있습니다. 그러나 서원은 하나님께 반드시 갚으라고 하십니다.성수주일,십일조,기도,전도,봉사,교사,성가대,구역활동,경건되고 모범된 생활,각 기관 활동 등, 이런 것들이 다 하나님 앞에서는 서원입니다.  이런 서원들은 갚아야 합니다. 이 서원을 갚으려면 아주 힘듭니다. 어렵습니다. 갈등이 생깁니다. 그래도 서원 했으면  갚아야합니다. 이것이 은혜 받은 성도가 보답하는 생활입니다.

    결 론
    우리는 하나님께 공짜로 너무나 많은 것을 받았습니다. 그 중에도 공짜로 구원을 받았습니다. 죽음에서 구원을 받았습니다. 이제 우리는 죄를 지어 죽었다 싶을 때도 실망하지 말아야 합니다. 죽을 지경까지 가도 죽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우리는 사업에 실패를 해서 망할 것 같지만 망하지 않는 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그 이유는 우리가 죄인 되었을 때에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셨기 때문입니다.(롬5:8,8:37,요16:33,고후4:8~10) 우리가 죽을 지경,실패하여 망할 지경에 오히려 하나님의 은혜의 손길이 가까이 와 있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환난 중에도 하나님의 은혜를 갈망하고 그 은혜를 찬양하고 감사의 제사를 드려 그 받은 은혜, 공짜로 수없이 받아 누리는 은혜에 갚을 길은 없으나 보답하며 살아 갈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서원한 것을 꼭 갚읍시다. 그럼 갚고 말고요, 꼭 갚읍시다.       끝 

댓글 0 ...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등록일 
110 admin 202 2013.03.14
109 admin 385 2013.03.12
108 admin 263 2013.03.12
107 admin 225 2013.03.12
106 admin 194 2013.03.12
admin 276 2013.03.12
104 admin 168 2013.03.12
103 admin 164 2013.03.12
102 admin 229 2013.03.12
101 admin 312 2013.03.12
태그